반응형

🛠️ 시스템 바꾸고, 수냉 그대로 썼는데…

얼마 전에 CPU를 라이젠 5 9600X로 바꿨어요.
기존엔 인텔 i7-11700을 쓰고 있었고,
그때부터 NZXT 크라켄 X53 RGB 수냉을 잘 써왔거든요.

“아무 문제 없었는데?” 라는 느낌이었는데,
이번에 AMD로 갈아타고 나니까 온도가 뭔가 이상한 거예요…?

 

 

🔥 수냉인데 왜 이렇게 뜨거운 거야!?

9600X + B850M 어로스 + X53 RGB로 조립하고
씨네벤치 R23을 돌려봤는데...

TDP 105W 전력해제 기준으로 무려 94~95도!!
그것도 쓰로틀링이 걸려요? 수냉인데? 😭

"잠깐… 이게 공랭보다 더 뜨거운 거라고?"

그래서 궁금해서 PA120 듀얼 공랭으로 테스트했죠.
그랬더니 87~88도. 훨씬 괜찮은 온도가 나왔어요.

써멀구리스도 바꿔봤습니다.
샤칸 XTC-4, Arctic MX-4 둘 다 시도했는데
결과는 똑같더라고요.

 

 

🤷‍♂️ 결국 AS 보냈는데…

"이거 뭔가 이상한데?" 싶어서
브라보텍에 AS를 보냈어요.

보내면서 이렇게 적었죠.

“TDP 전력해제 시 온도가 잘 안 잡히고 쓰로틀링이 걸립니다.”

 

근데 돌아온 답변은... 정상 판정

🤔 왜지? 하고 물어보니까
인텔 14600으로 테스트했다는 거예요.

“그럼 AMD랑 인텔이랑 결과가 다르다는 건가?”

브라보텍에선 제 테스트 환경 영상이랑
공랭이랑 비교한 장착 사진을 같이 보내달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영상까지 찍어서 다 보냈어요.
그랬더니 이번엔

“제품은 정상이지만, 고객 불편을 감안해 교환해드립니다.”

 

이렇게 해서 NZXT Kraken 240 WHITE로 교환받았습니다.

 

 

결론?🧪 그런데… 온도는 똑같더라 😐

기대 반, 불안 반으로 다시 조립해서
똑같이 씨네벤치 테스트를 해봤는데...

온도 94~95도. 다시 쓰로틀링.
아니 이게 도대체 뭐냐고요 😵

이쯤 되니
“내가 뭔가 잘못하고 있나?” 싶은 생각이 들더라고요.

 

 

🔍 그러다가 유튜브에서 힌트를 찾음

유튜브와 각종 커뮤니티를 뒤지다가 우연히
HardWare Canucks 채널의 영상을 하나 보게 됐어요.

🎥 영상 링크 – 240mm AIO 비교리뷰

영상 제목이
“The Ultimate 240mm AIO Roundup for Intel & AMD”
딱 내가 찾던 정보!

📸 인텔 i9-13900K 기준 (180W 풀로드)

 

NZXT Kraken 240: 66.9도 (5등)
→ 오, 인텔에선 괜찮네?

 

📸 AMD Ryzen 5 7600X 기준 (Full Load)

 

NZXT Kraken 240: 79.7도 (12등, 꼴찌)
→ ?? AMD에선 꼴등이라고???

🤯 순간 소름…
"혹시 이거 구조적인 문제인가?"

 

 

💬 마운팅 구조 차이 때문이래요

좀 더 찾아보다가
퀘이사존 글에서 이런 댓글을 봤어요.

출처: 퀘이사존 게시글

“LGA1700에서는 중상위권이지만
AM5에서는 최하위권입니다.
구형 아세텍 마운팅 방식 때문에 성능이 떨어진다고 하네요.”

 

🎯 이거다 싶었어요.

즉, AM5에선 쿨링 성능이 잘 안 나오는 구조라는 거죠.
설계 자체가 인텔 중심이라 그런 건가 봐요.

 

 

💡 그래서 지금은 이렇게 씁니다

지금은 PPT 125W로 전력 제한 걸어두고
그냥 Kraken 240 그대로 쓰고 있어요.

이제는 온도 괜찮고 쓰로틀링도 없긴 한데,
전력제한 없이 성능 다 뽑는 게 목적이라면…
솔직히 아쉬운 건 사실이에요.

 

 

✅ 정리하자면!

✔️ 인텔에선 성능 괜찮아요

❌ AMD (특히 AM5)에선 발열 심각

⚠️ 마운팅 구조가 AMD랑 잘 안 맞음

🔧 전력 해제 시 쓰로틀링 가능성 높음

📌 AMD 유저라면, 구매 전 꼭 참고하세요!

 

📦 후기… 진짜 고생했습니다 

AS 보내고, 테스트 영상 찍고, 다시 조립하고…
진짜 일주일 넘게 고생했네요.

이 글은 그냥 저처럼
"수냉이면 무조건 공랭보다 좋지!"
생각하는 분들께
꼭 참고가 됐으면 하는 마음에서 남깁니다.

 

 

반응형
반응형

 

구매 이유

1. 인텔 i7-11700 을 탈피

2. ddr5 사용하고픈 마음

3. vmware를 여러개 사용하는 나로써 램용량 64gb 업그레이드 필요

4. 인생 첨으로 라이젠 써보려는?

5. 메인보드에 WIFI 지원

 

현재 사양

CPU : 인텔 i7-11700

쿨러 : NZXT 크라켄 X53 화이트

메인보드 : Asrock 스틸레전드 Z590

메모리 : 삼성전자 ddr4 16GB x2

파워 : 시소닉 포커스 골드 850W

저장장치 : pm9a1 500GB, 파이어쿠다 520 2TB

그래픽카드 : 갤럭시 3080ti 화이트

 

위에서 빨간글씨인 CPU, 메인보드, 메모리만 바꾸고자 한다.

라이젠5 9600X (알리 21만원)

기가바이트 B850M AORUS ELITE WIFI6E ICE (알리 21.5만원)

ESSENCORE KLEVV DDR5-6000 CL30 CRAS V RGB WHITE 패키지 서린 (64GB(32Gx2) (g마켓 27.5만원)

 

그중 메인보드가 먼저 와서 리뷰 합니다~

 

 

 

📌 내가 생각하는 장점

  1. 가격
  2. 화이트 색상
  3. WIFI 지원

 

📌 내가 생각하는 단점

  1. M2 저장장치슬롯이 붙어있는것(그래픽카드 열기 온도이슈?). 아쉽게 2개밖에 없다는것.

 

아직 드래곤볼 중이라 빨리 조립하고 싶습니다. 오랜만에 컴퓨터 조립한다고 맘이 들떴네요. 얼른 조립하고 새로운 시스템에서 게임하고 싶어요 ㅎㅎ

 

조립하고 추후 추가작성 예정....

 

반응형
반응형

 

기존에 32인치 QHD 모니터2개를 사용하다가 어쩌다 보니 지인이 필요하다고 하여 방출하면서 새로운 모니터를 구성하게 되었다.

 

기존 32인치 모니터 스펙이 IPS (boe) / 평면 / 165Hz / 400cd / 1,000:1 

32인치 QHD에 맞는 픽셀피치는 0.277mm로 24인치 FHD가 맞다고 함.(노써치 참고)

 

 

같은 울트라기어 제품으로 찾아보고 비교

다나와 기준으로 나와있던 내용을 엑셀 표로 정리

 

 

같은 IPS를 사용해야 했기에 VA는 제외했고, LG 24GN60K 제품이 마침 제일 최신제품에 G마켓에서 할인하고 있어 17.7만에 냉큼 구입

32인치 QHD and 24인치 FHD 이질감 없는 창넘김

 

기존에 32인치 QHD 세로모드를 쓰고 있었는데 24인치 FHD는 생각보다 많이 작네요. 

 

치명적인 단점 발견. 기존 QHD에서는 세로모드로 사용할때 횡스크롤(가로스크롤)이 생기지 않았는데 1920x1080 FHD환경에서는 횡스크롤이 생겨버린다. 지금은 90% 축소모드로 사용하거나 Shift+스크롤 을 통해 횡스크롤을 하면서 사용중이다.

 

 

 

 

에효 그냥 똑같이 가로로 쓸까 고민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